
2009年5月30日土曜日
2009年5月17日日曜日
けいかい和尚の言葉
「飢エ来レバ飯を喫シ、困ジ来レバスナワチ眠ル。一切ノ人、飯ヲ喫スル時ニ、アエテ喫セズシテ、百種思量シ、ネムル時ニアエテネムラズシテ、千般計較ス」
→→この言葉は、「日々、精神の緊張が要求される」と説く。
→→この言葉は、「日々、精神の緊張が要求される」と説く。
2009年5月16日土曜日
新羅の玉帯
新羅時代の玉帯
何気なく『林下筆記』を繙いていたところ、新羅真平王に関する記事が目に飛び込んできた。真実かどうかは別な感興としても、少し考証に取りかかってみることにしたい。まずは、記事を紹介しよう。
「高麗金■■檀の品帯:麗太祖二十年金溥玉帯を献ず。大きさ十■六十二■、即ち真平王の所謂聖帯の玉帯也。世、国の■宝と為る四百年に垂々たり。之を献ずる。福州は今の安東の地、恭■王紅頭の乱を此に避くる。以前御■支金帯之を大師廟に蔵す。郷吏の戸長と為る者之を帯ぶる。此、古帯の由る所也。金■■檀帯雲龍の象を刻む。極めて精巧、■の背に款有り。曰く「王氏元年秋七月宮人尹英化」の十二字。此の帯、大内より錦城尉朴明源に賜る。和平翁主に尚する者也」
何気なく『林下筆記』を繙いていたところ、新羅真平王に関する記事が目に飛び込んできた。真実かどうかは別な感興としても、少し考証に取りかかってみることにしたい。まずは、記事を紹介しよう。
「高麗金■■檀の品帯:麗太祖二十年金溥玉帯を献ず。大きさ十■六十二■、即ち真平王の所謂聖帯の玉帯也。世、国の■宝と為る四百年に垂々たり。之を献ずる。福州は今の安東の地、恭■王紅頭の乱を此に避くる。以前御■支金帯之を大師廟に蔵す。郷吏の戸長と為る者之を帯ぶる。此、古帯の由る所也。金■■檀帯雲龍の象を刻む。極めて精巧、■の背に款有り。曰く「王氏元年秋七月宮人尹英化」の十二字。此の帯、大内より錦城尉朴明源に賜る。和平翁主に尚する者也」
機内でサービスされた故郷の和菓子
機内で出会った和菓子
Bostonで開催された学会での帰国の途、New Yorkから帰国便に搭乗した。JFK空港を午後1時30分に出発したので、日本に向かう約13時間のフライトの間中、ずっと昼間であった。つまり太陽を追いかけつつ、飛行機は成田を目指していたことになる。これこそ「日出る国」への憧れであろう。機長の説明によると、眼下に見えるアラスカの山々の美しさは、滅多にないほどの視界の広さであるという。冒険家直巳さんが死亡したマッキンレー山もアンカレッジの市内もくっきりと目に飛び込んできた。
旅の楽しみは、機内でサービスされる食事である。今回の機内食では、デザートに和菓子が供された。和菓子の名は、「朝汐」。丸みのある形、甘さを控えた味、後味を残さないさっぱり味。いずれも合格点であった。とはいえ、なぜ「朝汐」とネーミングしたのかも不思議であるが、和菓子の形状から思い浮かぶ連想が何かに思い至らなかった。
さてこの名ではピント来なかったが、添えられた竹の袋に「彩雲堂」とあり、よもや出雲の和菓子ではと客室乗務員にお尋ねすると、その通りであった。異国から帰国の徒で、懐かしき郷里に出会えた嬉しさはこの上ない。
昔から人々は思いも掛けない場所で、郷里を懐かしんだ。有名な逸話であるが、石川啄木が上野駅で、「訛りなつかし」と感じたのは、明治時代に農家の次男、三男が職を求めて大都市へ集中したからであった。昭和になり、山口百恵が歌う「ディスカバージャパン」では、高度経済成長期に農漁村の働き手の大多数が現金収入を求めて大都市へと吸い寄せられたからであった。時は、グローバル時代。その昔であれば、思いもしなかった日本からニューヨークまでが13時間で到着できる近さにある。航空会社の機内食担当者の選択基準を知らないが、
Bostonで開催された学会での帰国の途、New Yorkから帰国便に搭乗した。JFK空港を午後1時30分に出発したので、日本に向かう約13時間のフライトの間中、ずっと昼間であった。つまり太陽を追いかけつつ、飛行機は成田を目指していたことになる。これこそ「日出る国」への憧れであろう。機長の説明によると、眼下に見えるアラスカの山々の美しさは、滅多にないほどの視界の広さであるという。冒険家直巳さんが死亡したマッキンレー山もアンカレッジの市内もくっきりと目に飛び込んできた。
旅の楽しみは、機内でサービスされる食事である。今回の機内食では、デザートに和菓子が供された。和菓子の名は、「朝汐」。丸みのある形、甘さを控えた味、後味を残さないさっぱり味。いずれも合格点であった。とはいえ、なぜ「朝汐」とネーミングしたのかも不思議であるが、和菓子の形状から思い浮かぶ連想が何かに思い至らなかった。
さてこの名ではピント来なかったが、添えられた竹の袋に「彩雲堂」とあり、よもや出雲の和菓子ではと客室乗務員にお尋ねすると、その通りであった。異国から帰国の徒で、懐かしき郷里に出会えた嬉しさはこの上ない。
昔から人々は思いも掛けない場所で、郷里を懐かしんだ。有名な逸話であるが、石川啄木が上野駅で、「訛りなつかし」と感じたのは、明治時代に農家の次男、三男が職を求めて大都市へ集中したからであった。昭和になり、山口百恵が歌う「ディスカバージャパン」では、高度経済成長期に農漁村の働き手の大多数が現金収入を求めて大都市へと吸い寄せられたからであった。時は、グローバル時代。その昔であれば、思いもしなかった日本からニューヨークまでが13時間で到着できる近さにある。航空会社の機内食担当者の選択基準を知らないが、
2009年5月15日金曜日
2009年5月11日月曜日
かんこくではっぴょうされているちょうせんつうしんしろんぶん目録
驚きべき研究の深化。日本以上の進み具合。ひつだんしゅうをめぐる日本の研究は貧弱。
***********************************
목차 아래 목차를 클릭하면, 본문 내용 일부를 미리 보실 수 있습니다.//-->
문학 1권
구지현, 하버드 대학 소장 "부상일기(扶桑日記)"의 구성과 의미, 洌上古典硏究 17집, 2003. (문학)
김경숙, 乘錄의 서술 방식과 사행록으로서의 의의, 한국문화연구 10호, 이화여자대학교한국문화연구원, 2006. 6 (문학)
김보경, 南玉의 日觀記 연구 대상.보기.쓰기 문제를 축으로 (문학)
김태준, 유교적 문명성과 문학적 교양 - 申維翰의 일본일기 海遊錄을 중심으로 -(문학)
박우훈, 추포(秋浦) 황신(黃愼)의 삶과 문학(문학)
박찬기, 18세기 초 大阪에서의 申維翰과 水足山 -航海酬을 중심으로-(문학)
박창기, 일본 근세초기 문학에 나타난 계몽성 (문학)
소재영, 18世紀의 日本體驗 - 日本壯遊歌를 중심으로 - (문학)
이동찬, 18세기 對日 使行體驗의 문화적 충격 양상 -海日記와 日東壯遊歌를 중심으로-(문학)
이혜순, 18세기 韓日文士의 교류양상 ―己亥 使行時 韓日文士의 唱酬集을 중심으로―(문학)
최강현, 막부일본(幕府日本)과 유신일본(維新日本)의 풍물(風物) -《일동장유가》와 《유일록》을 중심하여-(문학)
한태문, 朝鮮後期 對日 使行文學의 實證的 硏究 - 부산 永嘉臺 海神祭와 祭文을 중심으로(문학)
문학 2권
구지현, 癸未隨錄에 대한 재검토 -작가와 사행록으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제131집,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9 (문학)
김경숙, 조선통신사 제술관 및 서기(書記)의 문학세계, - 서얼의 신분과 문학관을 통해, 온지논총1, 온지학회, 1995.(문학)
박찬기, 가부키(歌舞伎) 도진고로시의 세계 (문학)
박창기, 조선시대 通信使와 일본 荻生?徠門의 문학교류 -1711년 使行時의 교류를 중심으로-(문학)
엄경흠, 麗末鮮初 日本使僧文溪의 활동과 使行詩 (문학)
이동찬, 癸未 通信使行 記錄의 장르 選擇 -海日記와 日東壯遊歌를 중심으로-(문학)
이채연, 朝鮮前期 對日 使行文學에 나타난 日本認識 (문학)
이혜순, 18세기 韓日文士의 金剛山―富士山의 우열 논쟁과 그 의미(문학)
임종욱, 여말선초 두 知識人의 일본 체험 - 鄭夢周와 申叔舟의 한시를 중심으로 - (문학)
정도상, 東溟 金世濂의 上錄考察 - 澤堂 李植의 批評을 中心으로 - (문학)
정영문, 南龍翼의 ??扶桑錄?? 硏究(문학)
최강현, 사행가사(使行歌辭)를 비교하여 살핌 -《병인연행가》와 《일동장유가》를 중심하여-한태문,朝鮮後期 通信使 使行文學의 特徵과 文學史的 意義 - 交隣體制 安定期(1682-1763)의 <使行錄>을 중심으로 (문학)
문학 3권
箕輪吉次, 天和二年(1682)の筆語唱和박찬기, 모리오가이?사하시진고로(佐橋甚五)에 나타난 조선사절 속의 일본인(문학)
박찬기, 조선학사의 일기?기행문에 나타난 조선통신사(문학)박찬기, 최 천종 살해사건과 도진고로시 (문학)
박창기, 朝鮮時代 通信使와 日本의 文壇 -1711年 使行時 林家 및 木下順庵門과의 交流를 중심으로-(문학)
이혜순, 여행자 문학론 試攷 ―비교문학적 관점에서(문학)정영문, 宋希璟의 日本行錄 硏究 (문학)
정한기, ?日東壯遊歌?에 나타난 일본에 대한 인식 연구 -??海?日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문학)
조규익, 사행가사의 해외체험과 세계관 -<일동장유가>와 <병인연행가>의 거리- (문학)
최강현, 일본기행 범사록(泛?錄)을 살핌(문학)
한태문, 通信使 문학에 반영된 조선시대의 부산 - [海行摠載] 소재 使行錄을 중심으로(문학)
허경진, 통신사와 접반사의 창수 양상 비교(문학)
외교 4권
김경숙, 玄川 元重擧의 對馬島人 인식과 그 의미 - 일본 ‘內地人’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40호, 국어국문학회, 2005. 9.(외교)
김성진, 계미사행시의 남옥과 那波師僧 (외교)
민덕기, 에도 幕府의 동아시아 국제사회로의 진입 노력 -무로마치 幕府와 비교하여-(외교)
소재영, 海游錄에 비친 韓日關係 -申維翰의 海游錄硏究-(외교)
손승철, 명?청 교체기 對日外交文書의 年號와 干支(외교)
손승철, 松雲大師(四溟堂) 對日使行의 외교사적 의미 (외교)
岩方久彦, 1811년 對馬島 易地通信硏究 -기미책을 중심으로-(외교)
유재춘, 世宗代 崔浣事件과 朝日關係의 推移 (외교)
이민호, 光海君朝의 對日關係考察(외교)
한문종, 세종대 李藝의 대일교섭 활동 (외교)
홍성덕, 朝鮮後期 日本國王使 檢討 (외교)
홍성덕, 17世紀初 對日政策의 確立過程과 그 性格 (외교)
외교 5권
민덕기, 조선 후기 對日 通信使行이 기대한 반대급부 - 일본에서 받은 私禮單의 처리와 관련하여-(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교린체제의 분석과 그 문제점 (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통신사 개념의 재검토(외교)
岩方久彦, 雨森芳洲의 ‘誠信外交’論에 관한 一考察(외교)
오바타 미치히로 (Obata. Michihiro), 한국과 일본의 근대화와 통역과의 관계에 관한 고찰 - 조선 후기 通信使行에 수행한 譯官과 일본의 通詞를 중심으로 - (외교)
유재춘, 壬亂後 韓日國交 再開와 國書改作에 關한 硏究 (외교)
이민호, 仁祖朝의 對日關係考察(외교)
정성일, 對馬島易地聘禮에 참가한 通信使일행에 대하여(외교)
정응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조선통신사 의례 개정에 관하여(외교)
한문종, 조선전기 對馬島使行의 種類와 役割 (외교)
홍성덕, 일본 역사개설서 및 사전류 서술 내용 분석 -임진왜란 및 통신사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외교)
홍성덕, 壬辰倭亂 直後 日本의 對朝鮮 講和交涉 (외교)
외교 6권
민덕기, 조선시대 交隣의 理念과 국제사회의 交隣(외교)
손승철, 朝鮮後期 脫中華的 交隣體制의 독립성과 허구성(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日本天皇觀의 유형적 고찰(외교)
유재춘, 朝鮮後期 朝?日國書 硏究 (외교)
이민호, 孝宗朝의 對日外交(외교)
지두환, 世宗代 對日政策과 李藝의 對日活動 (외교)
하우봉, 開港期 修信使行에 관한 一硏究(외교)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외교)
한승희, 己亥通信使의
***********************************
목차 아래 목차를 클릭하면, 본문 내용 일부를 미리 보실 수 있습니다.//-->
문학 1권
구지현, 하버드 대학 소장 "부상일기(扶桑日記)"의 구성과 의미, 洌上古典硏究 17집, 2003. (문학)
김경숙, 乘錄의 서술 방식과 사행록으로서의 의의, 한국문화연구 10호, 이화여자대학교한국문화연구원, 2006. 6 (문학)
김보경, 南玉의 日觀記 연구 대상.보기.쓰기 문제를 축으로 (문학)
김태준, 유교적 문명성과 문학적 교양 - 申維翰의 일본일기 海遊錄을 중심으로 -(문학)
박우훈, 추포(秋浦) 황신(黃愼)의 삶과 문학(문학)
박찬기, 18세기 초 大阪에서의 申維翰과 水足山 -航海酬을 중심으로-(문학)
박창기, 일본 근세초기 문학에 나타난 계몽성 (문학)
소재영, 18世紀의 日本體驗 - 日本壯遊歌를 중심으로 - (문학)
이동찬, 18세기 對日 使行體驗의 문화적 충격 양상 -海日記와 日東壯遊歌를 중심으로-(문학)
이혜순, 18세기 韓日文士의 교류양상 ―己亥 使行時 韓日文士의 唱酬集을 중심으로―(문학)
최강현, 막부일본(幕府日本)과 유신일본(維新日本)의 풍물(風物) -《일동장유가》와 《유일록》을 중심하여-(문학)
한태문, 朝鮮後期 對日 使行文學의 實證的 硏究 - 부산 永嘉臺 海神祭와 祭文을 중심으로(문학)
문학 2권
구지현, 癸未隨錄에 대한 재검토 -작가와 사행록으로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동방학지. 제131집,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9 (문학)
김경숙, 조선통신사 제술관 및 서기(書記)의 문학세계, - 서얼의 신분과 문학관을 통해, 온지논총1, 온지학회, 1995.(문학)
박찬기, 가부키(歌舞伎) 도진고로시의 세계 (문학)
박창기, 조선시대 通信使와 일본 荻生?徠門의 문학교류 -1711년 使行時의 교류를 중심으로-(문학)
엄경흠, 麗末鮮初 日本使僧文溪의 활동과 使行詩 (문학)
이동찬, 癸未 通信使行 記錄의 장르 選擇 -海日記와 日東壯遊歌를 중심으로-(문학)
이채연, 朝鮮前期 對日 使行文學에 나타난 日本認識 (문학)
이혜순, 18세기 韓日文士의 金剛山―富士山의 우열 논쟁과 그 의미(문학)
임종욱, 여말선초 두 知識人의 일본 체험 - 鄭夢周와 申叔舟의 한시를 중심으로 - (문학)
정도상, 東溟 金世濂의 上錄考察 - 澤堂 李植의 批評을 中心으로 - (문학)
정영문, 南龍翼의 ??扶桑錄?? 硏究(문학)
최강현, 사행가사(使行歌辭)를 비교하여 살핌 -《병인연행가》와 《일동장유가》를 중심하여-한태문,朝鮮後期 通信使 使行文學의 特徵과 文學史的 意義 - 交隣體制 安定期(1682-1763)의 <使行錄>을 중심으로 (문학)
문학 3권
箕輪吉次, 天和二年(1682)の筆語唱和박찬기, 모리오가이?사하시진고로(佐橋甚五)에 나타난 조선사절 속의 일본인(문학)
박찬기, 조선학사의 일기?기행문에 나타난 조선통신사(문학)박찬기, 최 천종 살해사건과 도진고로시 (문학)
박창기, 朝鮮時代 通信使와 日本의 文壇 -1711年 使行時 林家 및 木下順庵門과의 交流를 중심으로-(문학)
이혜순, 여행자 문학론 試攷 ―비교문학적 관점에서(문학)정영문, 宋希璟의 日本行錄 硏究 (문학)
정한기, ?日東壯遊歌?에 나타난 일본에 대한 인식 연구 -??海?日記??와의 비교를 중심으로-(문학)
조규익, 사행가사의 해외체험과 세계관 -<일동장유가>와 <병인연행가>의 거리- (문학)
최강현, 일본기행 범사록(泛?錄)을 살핌(문학)
한태문, 通信使 문학에 반영된 조선시대의 부산 - [海行摠載] 소재 使行錄을 중심으로(문학)
허경진, 통신사와 접반사의 창수 양상 비교(문학)
외교 4권
김경숙, 玄川 元重擧의 對馬島人 인식과 그 의미 - 일본 ‘內地人’ 인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 140호, 국어국문학회, 2005. 9.(외교)
김성진, 계미사행시의 남옥과 那波師僧 (외교)
민덕기, 에도 幕府의 동아시아 국제사회로의 진입 노력 -무로마치 幕府와 비교하여-(외교)
소재영, 海游錄에 비친 韓日關係 -申維翰의 海游錄硏究-(외교)
손승철, 명?청 교체기 對日外交文書의 年號와 干支(외교)
손승철, 松雲大師(四溟堂) 對日使行의 외교사적 의미 (외교)
岩方久彦, 1811년 對馬島 易地通信硏究 -기미책을 중심으로-(외교)
유재춘, 世宗代 崔浣事件과 朝日關係의 推移 (외교)
이민호, 光海君朝의 對日關係考察(외교)
한문종, 세종대 李藝의 대일교섭 활동 (외교)
홍성덕, 朝鮮後期 日本國王使 檢討 (외교)
홍성덕, 17世紀初 對日政策의 確立過程과 그 性格 (외교)
외교 5권
민덕기, 조선 후기 對日 通信使行이 기대한 반대급부 - 일본에서 받은 私禮單의 처리와 관련하여-(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교린체제의 분석과 그 문제점 (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통신사 개념의 재검토(외교)
岩方久彦, 雨森芳洲의 ‘誠信外交’論에 관한 一考察(외교)
오바타 미치히로 (Obata. Michihiro), 한국과 일본의 근대화와 통역과의 관계에 관한 고찰 - 조선 후기 通信使行에 수행한 譯官과 일본의 通詞를 중심으로 - (외교)
유재춘, 壬亂後 韓日國交 再開와 國書改作에 關한 硏究 (외교)
이민호, 仁祖朝의 對日關係考察(외교)
정성일, 對馬島易地聘禮에 참가한 通信使일행에 대하여(외교)
정응수, 아라이 하쿠세키(新井白石)의 조선통신사 의례 개정에 관하여(외교)
한문종, 조선전기 對馬島使行의 種類와 役割 (외교)
홍성덕, 일본 역사개설서 및 사전류 서술 내용 분석 -임진왜란 및 통신사 서술내용을 중심으로- (외교)
홍성덕, 壬辰倭亂 直後 日本의 對朝鮮 講和交涉 (외교)
외교 6권
민덕기, 조선시대 交隣의 理念과 국제사회의 交隣(외교)
손승철, 朝鮮後期 脫中華的 交隣體制의 독립성과 허구성(외교)
손승철, 조선시대 日本天皇觀의 유형적 고찰(외교)
유재춘, 朝鮮後期 朝?日國書 硏究 (외교)
이민호, 孝宗朝의 對日外交(외교)
지두환, 世宗代 對日政策과 李藝의 對日活動 (외교)
하우봉, 開港期 修信使行에 관한 一硏究(외교)
한문종, 조선전기 日本國王使의 朝鮮通交 (외교)
한승희, 己亥通信使의
2009年5月10日日曜日
登録:
投稿 (Atom)